마켓뷰 22

글로벌 무역협상 속도전 본격화

美 베센트 재무장관은 한국·일본·인도·호주·영국과의 무역협상을 우선 처리할 방침.일본은 이번 주(4/16), 한국은 다음 주 협상 개시 예정트럼프의 Truth Social(4/8)에서 한국과의 협상 이슈로 무역흑자, 조선, LNG, 방위비 분담금 등 언급반면, 중국은 동남아와 공급망 강화 중, 시진핑은 베트남→말레이시아→캄보디아 순방베트남은 미국과의 협상 중이지만, 중국 우회 수출 통로로 주목무역협상 주도권 경쟁 본격화…국가별 전략이 성패 가를 듯!

마켓뷰 2025.04.15

주요 종목 IB 투자의견 핵심 요약 (25. 4. 14) 📝

주요 종목 IB 투자의견 핵심 요약 (25. 4. 14) 📝 ✅ 긍정적 / 상향넷플릭스(NFLX): 에버코어 '긍정적' (Tactical Outperform). 가격 매력 강조 👍듀폰(DD): 키뱅크 '비중확대'로 상향! 관세 리스크 완화 = 매력적 진입 기회 ✅↔️ 유지 / 혼재애플(AAPL): 씨티 '매수' 유지! 관세 면제는 호재 😄 (단, 목표가는 $245로 하향 조정)아마존(AMZN): 모간스탠리 '비중확대' 유지. 목표가↓ ($280→$245). 실적 가시성 회복엔 시간 필요 🤔마이크로소프트(MSFT): 웰스파고 '비중확대' 유지. 목표가↓ ($515→$500). 실적 발표 시 Azure 성장 주목!❌ 부정적 / 하향:스텔란티스(STLA): UBS '중립'으로 하향 (매수→중립) 📉 ..

씨티, S&P 500 목표치↓ (25.4.14) 📉

씨티(Citi) S&P 500 연말 목표치: 6500 ➡️ 5800 으로 하향 조정주요 이유미국 관세 우려가 증시 및 거시경제 전망을 흐리게 함 + 기업 실적 전망 하향 조정 ($270 → $255)씨티 코멘트: "관세 예상과 경제 둔화 신호로 실적 예측 하향, 정책 불확실성으로 인한 밸류에이션 압축도 필요"다른 월가 IB들도 줄줄이 하향 중!골드만삭스: 5700으로 하향RBC: 5550으로 하향결론: 관세 리스크 등으로 월가 전반적으로 S&P 500 목표치를 낮추는 추세

마켓뷰 2025.04.14

JP모건 장전 브리핑 핵심 요약 (4.14) 📈📉

시장 전망 (S&P500)신중론 유지: 현 지수 수준 부담. '스퀴즈 위험' 높음.핵심 전략: 무역전쟁 완화 전까지 "반등 시 매도" 전략 유지!트럼프 입장 변화? 완전한 위험 해소 아님 (관세 불확실성, 실적 위험 등 여전)주요 지표: 실물 경제 데이터 주목 (특히 고용, 소매판매)예상 범위: SPX 5200 ~ 5700 박스권 예상 (무역 협상 결과 나올 때까지)⚠️ 90일 내 새 협상 없으면 추가 하락 가능성투자 전략단기: 1~2주 기술주/경기민감주 주도 안도 랠리 가능성.활용법: 이 랠리를 방어적 포트폴리오 구축 기회로 삼을 것!방어 전략 예시:방어주 매수(+) vs 경기민감주 매도(-)금/은 매수(+) vs 소재주 매도(-)유틸리티 매수(+) vs 에너지 매도(-)지역: 라틴 아메리카(+) vs..

투자전략 2025.04.14

[외국계 시각] 오늘의 생각(Thought of the day)

미국 주식, 다시 매력적으로 보이는 이유1.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변화로 리스크 완화4월 2일,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산 수입품에 145% 관세를 부과하며 시장에 충격을 줬지만,4월 9일, 대부분 국가를 대상으로 한 ‘상호 관세’에 대해 90일 유예 조치를 발표함.이는 트럼프 행정부가 시장 불안에 대응할 여지가 있음을 보여줌 (‘트럼프 풋’ 개념).S&P 500 하방 시나리오 목표치를 4,000 → 4,500포인트로 상향 조정.2. 뉴스 흐름이 점차 개선될 가능성공급망 불안, 중국 기업 상장 폐지 우려 등은 여전히 존재.그러나 미국과 다른 국가 간의 협상 가능성 증가.트럼프 대통령도 중국과의 합의를 긍정적으로 전망.유예 기간 중 부문별 합의 가능성 존재.3. 높은 변동성 이후엔 강한 반등이 역사적 패턴VI..

마켓뷰 2025.04.13

"한국 경제: 한 걸음 나아갔지만, 도전은 여전하다"

다음은 HSBC 보고서의 핵심 요약입니다.1. 경제 상황정치적 혼란(대통령 탄핵 등) 속에서도 경제는 일부 긍정적 진전 있음.소비자 심리는 여전히 위축, 회복 속도는 느림.글로벌 무역 불확실성으로 정치 안정도 쉽지 않을 전망.추경 확대 가능성 있음,한국은행은 통화정책 정상화 기조 유지 중.대선 앞두고 여야의 재정정책 차이도 주목 포인트.2. 금리 전망미국의 관세 정책 등으로 외국인 투자자들이 한국 성장 둔화 가능성에 주목.3년물 국고채에 외국인 매수세 증가 가능성.금리곡선이 평탄하다는 건 재정확대에 대한 시장 불안은 크지 않음.HSBC는 단기 강세, 장기 약세(Bull-steepening) 흐름을 예상:→ 이는 정책금리 인하 기대와 재정 자극 가능성을 반영.즉, 경제는 조심스럽게 나아가고 있지만,소비 위..

마켓뷰 2025.04.10

[마켓뷰] 폭등에서 폭락까지, 단 하루에 무슨 일이? 트럼프發 무역 전쟁과 글로벌 시장 충격

미국과 일본, 그리고 한국 간 무역 협상 소식에 한껏 들떴던 세계 증시가 단 하루 만에 급락세로 전환했습니다. 2025년 4월 8일, 뉴욕 증시는 아침에는 폭등으로 출발했지만 장 마감에는 주요 지수가 모두 하락하며 투자자들을 혼란에 빠뜨렸습니다. 하루 사이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요?1. 기대감으로 시작된 하루: '협상 무드'에 환호한 시장하루의 시작은 분명 긍정적이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 협상팀이 도착하고 있다”라고 언급하며, 투자자들은 미-일, 미-한 무역 협상이 탄력을 받을 것이라는 기대를 품었습니다. 이에 일본 닛케이 지수는 6% 이상 급등했고, 뉴욕증시도 개장 직후 나스닥과 S&P500이 4% 넘게 치솟았습니다.스콧 베센트 미 재무장관은 “관세는 녹을 얼음처럼 사라질 수 있다”는 낙관적 ..

마켓뷰 2025.04.09

[마켓뷰] “S&P 500 목표가 5600? 불확실성 속에서도 주식이 채권보다 나은 이유”

글로벌 증시가 요동치고 있습니다. 미국과 중국 간의 무역 갈등이 재점화되고, 글로벌 경기둔화 우려와 함께 시장의 방향성이 흐려지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BofA(Bank of America)는 최근 보고서에서 S&P 500의 새로운 연말 목표치를 5,600포인트로 제시하며, 여전히 주식이 채권보다 매력적이라고 평가했습니다.어떻게 이런 결론이 도출되었는지, 그 배경과 핵심 논리를 정리해봅니다.1. “최악의 날 다음엔 최고의 날이 온다” – 시장에 남아야 할 이유BofA는 시장 하락 후 반등 가능성을 통계적 근거로 설명합니다.1930년대 이후, 10년 주기로 주식시장 최고 수익률을 기록한 10일은 대부분 급락 직후에 발생했습니다. 이 기간 동안 시장에서 빠져 있었던 투자자는 수익률이 24,000% ..

마켓뷰 2025.04.08

[마켓뷰] “관세 104%, 트럼프발 ‘무역 아마겟돈’

지난 주말, 트럼프 전 대통령의 보편관세 발효 이후 글로벌 금융시장은 혼돈에 빠졌습니다. 홍콩, 일본, 유럽 증시가 줄줄이 폭락했고, 미국 시장조차 개장 직후 4% 이상 급락하는 등 충격을 피하지 못했습니다.그런데도 트럼프는 변함없는 강경한 무역 메시지를 유지하고 있으며, 일부 국가들과의 협상 가능성만을 흘리고 있는 상황입니다.무엇이 투자자들을 패닉으로 몰아넣었고, 우리는 이 상황을 어떻게 이해하고 대처해야 할까요?1. 관세 104%…무역 전쟁의 확전2025년 4월 9일, 미국은 중국을 포함한 주요 교역국에 최고 104%에 달하는 상호 관세를 부과했습니다. 한국·EU·일본·베트남 등 약 60개국이 영향을 받으며, 전 세계 공급망은 심각한 충격을 맞았습니다.이로 인해 트럼프의 무역 정책은 단순한 협상 수단..

마켓뷰 2025.04.08

[요약] 현금 더 쌓는 투자자들, 시장 관망세 강화 (WSJ)

현금 선호 증가트럼프의 관세 인상 발표 이후, 투자자들이 주식 매수보다 현금 보유에 집중미국 개인 투자자 현금 비중: 3월 기준 18.3% (전월 17.4% → 팬데믹 이후 최고치)증시 하락세다우지수: 고점 대비 10% 하락 (조정 국면 진입)나스닥: 연초 대비 20% 이상 하락 (약세장 진입)투자 심리: 2007~2009년 금융위기 이후 최저 수준주가 고평가 우려S&P500 PER: 19.5배 (10년 평균 18.6배보다 높음)고평가된 주식 + 관세 충격 = 경기 침체 우려 증대스태그플레이션 경고경제지표는 견조하지만, 성장 둔화 + 물가 상승 우려 존재투자자들은 연준의 금리 인하보다 경기 침체 가능성에 더 주목앞으로의 변수금요일 발표될 JP모간, 모건스탠리, 웰스파고 실적이관세 인상이 실제 소비에 미친..

마켓뷰 2025.0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