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전망 4

(250522) 글로벌 증시 상황 진단 및 향후 방향

1. 현재 글로벌 증시 진단: 구조적 불안과 단기 충격이 동시 전개 중(1) 장기 국채 금리 급등 → 주식시장 압박미국 10년물 금리 4.6%, 30년물 5.1% 돌파이는 2023년 말 이후 최고치이며, 장기적으로 자산 가격에 부정적 영향을 미침.원인: 트럼프 감세안 부활 가능성 + 무디스 신용등급 강등 + 유럽·일본 금리 상승 → 글로벌 채권 매도 확대영향: 장기금리 상승은 주식 밸류에이션 하락 압력으로 작용 (PER 디스카운트), 특히 고평가된 성장주 중심으로 조정(2) 달러 약세 지속 + 해외 자금 이탈금리 상승에도 불구하고 달러는 약세 → 이는 미국 자산에 대한 외국인 수요 위축을 뜻함.국채 경매 수요 부진 → 미국 국채는 더 이상 '무위험 안전자산' 역할에서 멀어지고 있음.(3) 인플레이션 리스..

마켓뷰 2025.05.22

주식 전략 제이피모건

Upgrading EM equities신흥국(EM) 주식은 지난 4년간 선진국(DM) 대비 실적이 매우 부진했으며, 2021년 이후 누적 40% 뒤처졌습니다.1분기에는 EM 대비 DM 포지션을 비중 축소에서 중립으로 상향 조정했고, 이번에는 이를 비중 확대(OW)로 추가 상향합니다. 그 배경은 다음과 같습니다.무역 불확실성 완화: 미국이 중국에 제안했던 관세를 145%에서 41%로 낮추기로 하면서 무역 긴장 완화 조짐이 보입니다. 이는 무역 관련 소음의 끝은 아니지만, 최악은 지나갔다고 판단합니다. 우리는 무역 역풍의 완화를 EM 상향 조정의 조건 중 하나로 제시했고, 이제 그것이 실현되고 있습니다.달러 약세 지속 가능성: 올해 달러가 약세를 보일 경우 EM 자산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EM은..

투자전략 2025.05.21

(250515) 미 증시 진단과 대응 전략: 상승의 끝자락인가, 숨 고르기인가?

뉴욕 증시는 최근 4주 연속 상승세를 보이며 S&P500 지수는 올해 플러스 전환에 성공했습니다. 하지만 시장 분위기는 다시 한번 신중 모드로 전환되고 있습니다. 기술주는 강세를 이어가고 있지만, 채권 금리는 다시 4.5%를 넘기며 경고등을 켜고 있습니다. 과연 지금은 상승의 끝자락일까요, 아니면 더 큰 랠리를 위한 숨 고르기일까요?1. S&P500, 이제는 적정 가치 도달?데이터트랙리서치에 따르면 S&P500 지수는 기업 이익 추정치 대비 14~20배 수준의 역사적 밸류에이션 범위 안에서 적정 가치에 도달했다고 분석합니다. 강세장을 이어가기 위해서는 "이번엔 다르다"는 기대감이 필요하며, 이는 AI에 대한 낙관론, 무역정책의 예측 가능성, 미국 경제 회복력에 대한 믿음이 뒷받침되어야 합니다.그러나 골드..

투자전략 2025.05.15

5월 미중 무역합의 이후 미국 증시, 진짜 랠리의 시작인가?

최근 미국 증시는 관세 완화와 AI 테마 모멘텀을 중심으로 강한 반등세를 보였습니다. 그러나 이 랠리가 구조적 상승의 출발점인지, 아니면 일시적 반등에 불과한지는 투자자들에게 여전히 중요한 질문입니다. 1. 강제 매수의 시작점인가? (GS - Rich Privorotsky)AI 테마와 미중 협상 기대가 상승 촉매로 작용했으며, 월요일 글로벌 프라임북에서 최근 5년 내 두 번째로 큰 순매수가 발생.대부분은 숏커버에 기반한 상승 (1.6:1 비율), 미국과 유럽이 주도.방어주 및 장기채권은 가장 취약한 자산군으로 전락.현재는 기술적 강세 구간으로, 델타 중심 포지셔닝 증가와 CTA 트리거가 형성된 상태.그러나, 리스크 대비 보상은 점차 줄어들고 있어 추가 랠리를 위해선 펀더멘털 개선 필요.2. 일시적..

마켓뷰 2025.0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