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9일, 글로벌 투자은행 맥쿼리(Macquarie)는 국내 대표 콘텐츠 제작사 스튜디오드래곤에 대한 투자 의견을 기존 ‘중립(Neutral)’에서 ‘시장수익률 상회(Outperform)’로 상향 조정했습니다.
그 핵심 이유는 바로 중국 시장에서의 판매 재개 가능성 때문입니다.
그동안 한한령으로 인해 콘텐츠 수출이 막혔던 중국 시장이 점차 열릴 조짐을 보이자, 스튜디오드래곤이 가장 큰 수혜를 입을 수 있다는 분석입니다.
1. 하반기 제작 회복 + 중국 수출 기대
맥쿼리는 2025년 하반기(2H25E)부터 TV 콘텐츠 제작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이는 낮은 기저효과와 함께 콘텐츠 수요 회복세에 기반한 것으로, K-콘텐츠에 대한 글로벌 수요는 여전히 견조하다는 점을 시사합니다.
가장 큰 기대는 중국과의 교역 회복입니다.
“한중 간 무역 관계가 강화되면서 스튜디오드래곤의 콘텐츠가 중국 시장에서 다시 판매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실제로 2025년, 2026년 스튜디오드래곤의 배급 매출은 전년 대비 각각 8%, 16%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2. “중국 수출의 최대 수혜자”라는 판단
스튜디오드래곤은 과거에도 중국향 콘텐츠 판매를 통해 큰 성과를 거둔 바 있습니다. 맥쿼리는 이번 중국 시장 재개 시, 스튜디오드래곤이 주요 수혜자가 될 것이라고 명확히 언급하며, 투자의견을 상향 조정했습니다.
다만, “중국 수출 재개 시점은 여전히 불확실하다”고 덧붙이며 조심스러운 접근도 함께 제시했습니다.
3. 주가 전망과 밸류에이션
현재 주가(2025년 4월 8일 기준): 46,000원
12개월 목표주가: 60,000원
예상 총수익률(TSR): 30.4%
콘텐츠 업종의 변동성을 고려해 ‘중간(Medium)’ 수준의 리스크를 평가했지만, 실적 회복 가능성과 중국 수출 확대가 반영될 경우 중장기적 주가 상승 여력은 충분하다고 판단했습니다.
4. 결론: 불확실성 속 기회 포착
한동안 중단되었던 중국 콘텐츠 수출이 다시 가능해질 경우, 스튜디오드래곤은 새로운 성장 궤도에 오를 수 있습니다. 다만, 시기와 강도는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중장기 관점에서 분할 매수 접근이 유효할 수 있습니다.
활용자료
Macquarie Equity Research, Studio Dragon: Riding on likely restart in China sales, 2025.04.09
면책고지
이 글은 맥쿼리증권의 리서치 문서를 기반으로 작성된 정보 제공용 콘텐츠입니다. 투자에 대한 최종 판단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이며, 본 글은 투자 권유 목적이 아닙니다. 시장 상황은 변동성이 크므로 전문가 상담과 함께 신중한 결정을 권장드립니다.
'분석 > 국내 종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카오뱅크 실적 프리뷰] 트럼프 관세 여파 속 지금은 반등보다 '방어'가 우선일 때 (0) | 2025.04.11 |
---|---|
트럼프發 보복관세, 전기차 배터리 산업 직격탄…누가 웃고 누가 울까 (0) | 2025.04.09 |
[분석] “폭발적 반등 뒤에는 고요한 숨 고르기? – ABL바이오, 지금은 ‘관망’이 정답” (0) | 2025.04.09 |
[분석] 삼성전자 기술적 분석 (0) | 2025.04.08 |
[Top Picks] “관세 리스크 속에 기회는 있다: 전력기기 산업, 반등의 조건은?” (0) | 2025.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