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행정부의 '상호 관세' 정책은 미국과의 무역 적자를 기준으로 관세를 부과하는 독특한 방식입니다.
공식
무역흑자 ÷ 미국에 대한 총 수출 ÷ 2 = 관세율
(예: 중국의 경우 2950억 ÷ 4380억 ÷ 2 = 약 34%)
적용 방식
미국과 무역흑자가 큰 국가는 높은 관세 적용
(예: 중국, 일본, EU)
미국과 무역 균형 or 흑자 국가는 10% 일률 세율 부과
비판점
실제 외국의 관세나 비관세 장벽이 아닌,
미국의 적자 수치만을 기준으로 함
단순화된 방식으로, 실질적인 무역정책 분석이나 상호주의 원칙과는 다름
정치적 상징성이 크고, 공표된 요율과 실제 부과 간
불일치 존재
이 정책은 미국의 무역적자 감축을 명분으로 하나, 경제학적으로는 논란의 여지가 있습니다.
'마켓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약] 골드만삭스의 관세 관련 반도체 분야 분석 (3) | 2025.04.04 |
---|---|
[요약] 전면적 관세 인상, 미국 및 글로벌 경기침체 우려(J.P.모건) (0) | 2025.04.03 |
[분석]"사토리 리서치 관세 분석: 세 가지 핵심 시사점" (0) | 2025.04.03 |
[마켓뷰]“트럼프의 ‘관세 폭탄’…뉴욕 증시, 반전의 반전을 겪다” (0) | 2025.04.03 |
[마켓뷰]트럼프 관세에 대해 금융 애널리스트 의견 분분💡💡💡 (0) | 2025.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