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국내 종목

삼성 DDR4 OEM 모듈 생산 중단 임박

롱이아빠(ohwo2h) 2025. 4. 22. 10:48

1. 관련 소식 (뉴스)


삼성전자가 고객사에 DDR4 모듈 생산 종료(EOL, End of Life) 통보를 보냈으며, 12월 생산 종료 예정이라고 밝혔다. 최종 주문 마감일은 6월 초로 예정되어 있다.

삼성은 1y 나노 공정을 기반으로 한 구형 공정 생산을 대폭 축소하고 있으며, DDR5 및 LPDDR5 등 고급 제품으로 전환하고 있어 PC OEM 업체들의 DDR5 전환을 가속화시키고 있다.
이로 인해 대만 업체들이 수혜를 입을 것으로 예상된다.

비록 삼성은 공식적으로 시장 소문에 대해 논평하지 않았지만, 다수의 공급망 관계자들은 실제로 삼성으로부터 EOL 공식 통보를 받았으며, 8GB 및 16GB DDR4 SODIMM 및 UDIMM 모듈이 12월 10일자로 출하 종료된다고 전했다.


2. 삼성전자의 DDR4 모듈 생산 종료는 주가에 부정적일까?


단기적 혼선은 있을 수 있으나, 본질적으로는 ‘전략적 전환’

DDR4 EOL은 단순한 생산 중단이 아니라, DDR5, LPDDR5, HBM 등 고부가가치 메모리로의 전환 전략입니다.

이 같은 전환은 수익성 중심 구조 재편으로 해석되며, 장기적으로 긍정적인 시그널입니다.

DDR4 단종 → 단기 매출 공백 가능성은 있지만, 고가 제품 전환에 따른 ASP(평균판매단가) 상승 효과가 더 큼.



3. 공급 축소에 따른 시장 반응


DDR4 수급 불안정 → 가격 상승 → 공급자 우위

실제로 DDR4 가격은 1개월 내 10% 이상 반등함.

삼성은 DDR4 시장의 과점 사업자이므로, 수요가 급한 고객은 DDR5로 자연스레 전환하게 됨.

이는 DDR5 수요 확대 → 삼성의 신공정 가동률 상승 → 수익성 개선으로 이어짐.



4. 투자 관점: 수혜 업종은?


1차 수혜: 난야테크, 윈본드 등 대만 중소 메모리 업체

2차 수혜: 삼성전자 (고부가 메모리 집중 → 수익 구조 개선 → 장기적 ROE 상승)

3차 수혜: DDR5 채용 확대에 따른 서버/PC OEM 브랜드 (Dell, HP, ASUS 등)



5. 주가에 미치는 영향


- 단기: DDR4 고객 이탈 우려, 일부 투자자 단기 매도 가능성

- 중기: DDR5, LPDDR5, HBM 수요 확대와 고수익 제품 전환 효과가 더 큼

- 장기: 원가 구조 개선 + 고객선별 전략으로 삼성전자 메모리 사업 마진 상승 기대


결론

→ 삼성전자 주가에는 장기적으로 긍정적인 뉴스입니다.

→ 다만, 단기적으로는 DDR4 중심 고객사 재편 이슈로 인해 일시적 혼조세가 있을 수 있으나,

→ 전체 메모리 포트폴리오 전환과 고부가 제품 집중 전략으로 인해 중장기 투자자에게는 호재로 볼 수 있습니다.


* 면책고지
본 글은 투자 참고용으로, 특정 종목에 대한 매수/매도를 권유하는 목적이 아닙니다. 투자 결과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